get: 리소스 조회
post: 등록, 요청 데이터처리
put: 리소스 덮어쓰기, 해당 리소스가 없으면 생성
patch:리소스 부분 변경(put은 전체 변경이지만 patch는 일부 변경)
delete: 리소스 삭제
head: get과 동일하나 body부분을 제외하고 상태 줄과 헤더만 반환
options: 대상 리소스에 대한 메서드를 주로 설명 주로 CORS에서 사용
connect: 대상 자원으로 식별되는 서버에 대한 터널 설정
trace: 대상 리소스에 대한 경로를 따라 메시지 루프 백 테스트 수행
두 방식은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데이터 교환을 위한 HTTP 메서드로 사용됨
하지만 데이터의 위치와 사용 목적에서 차이가 있음
GET은 URL에 데이터를 포함하여 조회를 위한 요청을 하며, 주로 읽기 작업에 사용됨
POST는 HTTP 본문에 데이터를 담아 서버의 상태를 변경하거나 추가하는 데 사용되며,
쓰기 작업에 적합함
GET은 브라우저 주소창에 파라미터가 노출됨
POST는 숨겨짐
GET은 길이 제한이 있으며 민감한 정보에 적합하지 않음
POST는 길이 제한이 없으며 보안이 더 강화됨
GET의 데이터 흐름: 사용자 브라우저 URL입력 -> 브라우저가 해당 URL에 포함된 파라미터와 함께 서버에 요청 -> 서버가 요청 처리 후 요청 정보 반환 -> 브라우저에서 표시
POST 데이터 흐름: 사용자가 인풋창에 데이터 입력 후 버튼을 눌러 제출 -> 브라우저가 데이터를 HTTP 본문에 담아 서버에 요청 -> 서버가 요청 처리 후 필요한 정보 반환 -> 브라우저가 응답 받아 사용자에게 표시 혹은 다른 동작으로 넘어감
[TIL] 2024.04.02 네트워크 패킷 분석 (0) | 2024.04.03 |
---|---|
[TIL] 2024.04.01 스크래핑 데이터 저장 (0) | 2024.04.01 |
[TIL] 2024.03.27 프로세스와 스레드 (1) | 2024.03.27 |
[TIL] 2024.03.26 최종프로젝트 응모했슈? 구상 (1) | 2024.03.27 |
[TIL] 2024.03.25 Collaboration-Tools KPT 회고 (0) | 2024.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