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0)
    • [TIL] (65)
    • [WIL] (0)
    • 면접준비 (2)
    • 설치 자료 (0)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분류 전체보기

  • [TIL] 2024.04.23 nest 기본 socket 구성

    2024.04.24 by 재호링

  • [TIL] 2024.04.22 진행방향성

    2024.04.23 by 재호링

  • [TIL] 2024.04.19 AWS ES 데이터 벌크로 삽입하기

    2024.04.21 by 재호링

  • [TIL] 2024.04.18 elasticsearch 연결 성공

    2024.04.19 by 재호링

  • [TIL] 2024.04.17

    2024.04.18 by 재호링

  • [TIL] 2024.04.16 팀프로젝트 중간발표 회고록

    2024.04.16 by 재호링

  • Stack과 Queue를 비교설명해주시오

    2024.04.15 by 재호링

  • Array와 LinkedList를 비교설명하시오

    2024.04.15 by 재호링

[TIL] 2024.04.23 nest 기본 socket 구성

설치 $ npm i --save @nestjs/websockets @nestjs/platform-socket.io개요 @WebSocketGateway(80)데코레이터 에 인수를 전달하여 수정할 수 있습니다 . 다음 구성을 사용하여 게이트웨이에서 사용하는 네임스페이스를설정@WebSocketGateway(80, { namespace: 'events' })아래와 같이 데코레이터 에 대한 두 번째 인수를 사용하여 지원되는 옵션을 소켓 생성자에 전달 .@WebSocketGateway()@WebSocketGateway(81, { transports: ['websocket'] })이제 게이트웨이가 수신 중이지만 수신 메시지를 아직 구독하지 않았습니다. 메시지를 구독 events하고 정확히 동일한 데..

[TIL] 2024. 4. 24. 13:44

[TIL] 2024.04.22 진행방향성

지금은 사람들이 검색할만한거 브랜드 이름 정도만 구축해놓고 추후에 추가하며 환경세팅하기 디비에 있는걸 굳이 지워야하나 디비에 저장할 필요가 없나? 정규화된 데이터로 존재해야되나 말아야되나 db에 저장하고 읽어서 저장하면 유니크 로그스태시는 아니더라도 db에있는 걸 적용하는게 맞는것 같다. 하되 하나 받아올 때 마다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지 말고 한번 요청보내서 조회 확인하는 방법은 복잡하긴한데 그냥 일단은 한번씩 시간남으면 로그스태시 채팅기능 먼저 구현한 후에 브랜드 매핑 + 로그스태쉬 스케일 업과 아웃 스케일 아웃은 현대에서 더 확장성이 있고 옛날에는 클라우드가 없었을 때는 어려웠겠지만 이제는 컴퓨터를 여러대를 붙이고 떼는게 쉬우다 스케일업이 무조건 적으로 나쁘다 할 순 없지만 스케일 아웃이 조금 더 확..

[TIL] 2024. 4. 23. 02:22

[TIL] 2024.04.19 AWS ES 데이터 벌크로 삽입하기

우분투를 사용하여 aws에 데이터 삽입하기. 하나의 파일에 데이터가 17000개가 넘게 있는데 이걸 한 번에 요청을 보내면 요청이 너무 많다고 에러가 떴다. 그래서 파일을 분할해 curl XPOST로 AWS ES에 넣어줬다. 대충 이런 파일 99개가 존재한다. 요청을 넣어주고 마지막 99번째에 들어간 id 필드를 조회해보면 아주 자알 들어온걸 확인 할 수 있다. 이제 은전한닢으로 동의어 매칭을 해줘야한다~

[TIL] 2024. 4. 21. 02:33

[TIL] 2024.04.18 elasticsearch 연결 성공

sniffOnStart를 빼주니까 연결을 성공했다 언제 스니핑을 해서는 안되는가?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는 프록시 뒤에 Elasticsearch를 숨깁니다. 그러면 반환된 주소와 호스트 이름이 네트워크에서 아무런 의미가 없을 수 있으므로 스니핑 작업이 소용없을 수 없습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스니핑 및 풀링 복잡성을 처리하므로 여러분이 이를 지원할 필요가 없습니다. Elastic Cloud를 사용하는 경우, 이미 수행된 작업에 시간을 낭비하지 않도록 연결 풀 처리와 같은 대부분의 작업을 공식 클라이언트가 내부적으로 단락시킵니다. 앞서 본 바와 같이, Docker 또는 Kubernetes와 함께 작업할 때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게시 호스트 옵션을 구성하지..

[TIL] 2024. 4. 19. 10:16

[TIL] 2024.04.17

이걸로 버전 업 해줘야한다 안되던 오류 수정했음 ~ 야호

카테고리 없음 2024. 4. 18. 04:18

[TIL] 2024.04.16 팀프로젝트 중간발표 회고록

1. MVP 중간발표 자료(기입) 프로젝트 정보 서비스명: 응모했슈 서비스 기획 의도: 응모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여러 사이트를 하나씩 방문하는 것은 불편하다고 생각하여 이 관점에서 시작했습니다. 프로젝트 한 줄 설명: 신발 응모 정보 및 뉴스 조회 & 개인간 신발 거래 시스템 최종 MVP 스펙: 웹 스크래핑 , 유닛테스트 , rapidAPI , ci/cd , rds, MySQL , AWS EC2 , docker , nest , git action , elastic search 서비스 배포 URL: http://3.34.188.17:3000 팀 노션 URL:그림자다빈술 2. 기술적 의사결정 & 트러블슈팅 기록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직면한 문제를 어떤 과정으로 해결 하셨는지, 스택별로 기록 해 주세요 기술적..

[TIL] 2024. 4. 16. 20:46

Stack과 Queue를 비교설명해주시오

stack이란 쌓아 올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스택 자료구조라는 것은 책을 쌓는 것처럼 차곡차곡 쌓아 올린 형태의 자료구조를 뜻합니다. 스택은 같은 구조와 크기의 자료를 정해진 방향으로만 쌓을 수 있고 top으로 정한 곳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습니다. 가장 위에 있는 자료는 가장 최근에 들어온 자료를 가리키며 삽입되는 새 자료는 top이 가리키는 사료의 위에 쌓이게 됩니다. 스택에서 자료를 삭제할 때도 top을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스택에서 top을 통해 삽입하는 연산을 push, 삭제를 pop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스택은 시간 순서에 따라 자료가 쌓여서 가장 마지막에 삽입된 자료가 가장 먼저 삭제된다는 구조적인 특징을 갖게 됩니다. 이러한 스택의 구조를 Last -in First-out 이라 부르..

면접준비 2024. 4. 15. 09:52

Array와 LinkedList를 비교설명하시오

(배열)Array 는 정적 자료구조라고 불린다 즉, 배열을 만들기 위해서는 크기를 미리 정해놓게 되는데 이렇게 정의하면 해당 크기 만큼의 연소괸 메모리 주소를 할당 받게 됩니다. 연속된 메모리 주소를 할당 받고 있기 때문에 데이터가 인덱스(index)라는 것을 갖게 되는데 우리가 array[0] 같은 식으로 배열에 접근할 때 대괄화 안에 숫자가 index 입니다. 대괄호 안에 index를 갖게 된다는 것은 즉, 임의 접근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어 접근과 탐색에 용이합니다. 하지만 크기를 미리 정해놓았기 때문에 수정하는 것은 불가하고 해당 배열 크기 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연결리스트(Linked List) 링크드 리스트는 동적 자료구조이며 크기를 정할 필요 없고 배열처럼 연속된..

면접준비 2024. 4. 15. 09:30

추가 정보

인기글

최신글

페이징

이전
1 2 3 4 ··· 10
다음
TISTORY
재호링의 쌉꿀마코딩티비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